연구 프로젝트

연구프로젝트

2022년~현재: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응전략으로서의 스마트 체육교육 정책 선진화 방안 연구(교육부)

2021년~현재: 엘리트 스포츠선수의 인권인식 지수 개발 연구(교육부)

2021년~현재: VR 헬스케어 콘텐츠의 UX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뉴 실버세대의 테크노스트레스 해소와 웰빙 라이프케어 향상을 중심으로(교육부)

2022년~현재: 스포츠 지도자에 대한 선수들과 스포츠 팬들의 암묵적 리더십 연구(교육부)

2021년~2022년: 스포츠 지도자에 대한 선수들과 스포츠 팬들의 암묵적 리더십 연구(교육부)

2021년~2022년: 스포츠 지도자의 암묵적 리더십 척도 개발 및 타당화(교육부)

2020년~2021년: 스포츠 조직구성원의 팔로워십, 리더-구성원의 교환관계(LMX), 조직유효성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교육부)

2020년~2021년: 스크린골프의 골프산업 및 국가경제 기여효과 연구 ((주)골프존)

2019년~2022년: VR융합 콘텐츠의 사용 확산을 위한 전략적 모델(과기정통부)

2019년~2020년: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통합적 웰니스 리터러시 활성화 모델(과기정통부)

2019년~2021년: The CJ CUP Target Market Analysisi ((주)CJ)

2018년~2020년: U-헬스케어 서비스 이용과 단절의 통합 모델 개발: 고령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를 중심으로(교육부)

2017년~2020년: 고령자를 위한 UI 사용성 평가지수 개발 및 적용: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를 중심으로(교육부)

2016년~2019년: 스마트헬스케어 확산을 위한 수용과 단절 모델 개발: m-sports app를 중심으로(교육부)

2017년~2018년: 가상현실 사용자경험(VRUX)과 성과 평가 모델 개발: 가상현실스포츠 경험을 중심으로(미래창조과학부)

2017년~2017년: 프로스포츠 구단의 윤리경영과 팬시민행동, 장기지향성의 영향관계: 윤리적 소비성향의 조절효과 분석(교육부)

2017년~2017년: 성공적인 경력전환을 위한 경력태도와 선제적 경력행동: 운동선수를 대상으로(성균관대)

2014년~2015년: 스포츠조직 활성화를 위한 조직침묵에 대한 접근과 분석: 종사자 차원과 조직 차원 분석(교육부)

2014년~2014년: 스포츠시설 선진화를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과 평가모델 개발(국민체육진흥공단)

2013년~2015년: 인간중심적 소비경험의 고객관점 평가 모델 개발과 적용: 스포츠상품을 중심으로(교육부)

2013년~2013년: 스크린골프 시뮬레이터에서 기술기반셀프서비스에 의한 고객 생산성에 관한 연구(삼성-성균관대)

2012년~2014년: 스포츠조직 선진화를 위한 한국과 미국 스포츠조직의 조직문화 비교(교과부)

2010년~2012년: 스포츠상품 소비의 총체적 경험 모듈 개발과 적용(교과부)

2006년~2007년: 스포츠조직 종사자들의 고용상태에 따른 조직몰입과 직업몰입의 갈등에 대한 연구(교육-학진)

2004년~2004년: 아동기 스포츠 참여 경험이 향후 지속적 스포츠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성균관대)

2003년~2003년: 스포츠산업의 정규직과 비정규직 직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비교 연구(교육-학진)

2002년~2002년: 대학 마케팅을 위한 스포츠팀의 기여 가능성에 대한 고찰(성균관대)

 

인재양성 프로젝트

2020년~현재: 4단계 BK21 선제적헬스케어 기술 혁신인재 교육연구단(교육부)

2019년~현재: 스포츠산업 전문인력양성 스포츠융복합 대학원사업-스포츠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문화체육관광부)

2017년~2020년: BK21예비 스포츠과학 창의인재양성(성균관대)

2014년~2016년: 스포츠-ICT융합 기술 연구단(중점연구소사업-교육부)

2013년~2015년:  BK21+ 웰니스사회 스포츠과학 전문 인력 양성(교육부)

2006년~2012년:  2단계 BK21 국제스포츠외교행정 전문 인력 양성(교육부)

Development Fund, Sungkyunkwan University(SKKU)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