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AEP 콜로키움(25.05.20.) 안내] 한국유학, 세계유학으로 -뚜웨이밍 교수의 통찰과 공헌
- 안녕하세요.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 K-학술확산연구센터입니다. 저희 센터에서는 한국 유학과 동아시아 유학의 현재를 성찰하고, 그 미래적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콜로키움을 개최합니다. 이번 콜로키움에서는 유교의 세계화에 중대한 기여를 해온 뚜웨이밍(Tu Weiming) 교수님의 사유를 중심으로 한국 유학에 대한 통찰과 공헌을 조망하고자 합니다. Young-chan Ro 교수님(George Mason University), Jianbao Wang 박사님(Peking University & CKGSB)이 “Discovering Korean Confucianism and Rediscovering the Confucian Spirituality”와 “From Global Ethics to Multi-planetary Ethics: A Perspective of Spiritual Humanism”이라는 주제로 발표할 예정입니다. 발표는 한국어(Young chan Ro 교수님 발표)와 영어(Jianbao Wang 박사님 발표)로 진행되며, 영어 발표의 질의응답에는 통역을 제공합니다. 한국 유학을 세계 유학의 지평에서 새롭게 바라보는 이번 콜로키움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아래는 현장에 오시기 어려운 분들을 위한 줌링크입니다. https://skku-edu.zoom.us/j/87427290652?pwd=XB59BQlVp16aCdXMQE6nBiMt4BnqLp.1 회의 ID: 874 2729 0652 암호: 908648
-
- 작성일 2025-05-08
- 조회수 188
- 첨부파일 (2)
-
-
- 한국철학 연구주제의 탐색과 확산 세미나2
- 안녕하세요.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입니다. 본 연구소에서는 K-학술확산연구센터와 함께 ‘한국철학 연구주제의 탐색과 확산’이라는 주제로 학술세미나를 시리즈로 진행 중입니다. 이번에는 그 두번째로 소진형 선생님, 김보름 선생님을 모시고 "몽테스키외의 '법의 정신' 번역"과 "다산학: 문헌 위의 철학"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소진형 선생님은 서울대학교에서 조선 후기 왕의 권위와 권력 관계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으시고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에서 연구 중이십니다. 김보름 선생님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정약용 저작집의 형성과 전승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으시고 현재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에 재직중입니다. 세미나는 아래의 일정과 같이 진행됩니다.(1회 세미나 때와 같은 시간, 같은 장소입니다.) 대학원생 여러분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
- 작성일 2025-04-21
- 조회수 148
- 첨부파일 (0)
-
- 한국철학 연구주제의 탐색과 확산 세미나1
- 안녕하세요.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입니다. 본 연구소에서는 K-학술확산연구센터와 함께 ‘한국철학 연구주제의 탐색과 확산’이라는 주제로 학술세미나를 시리즈로 진행할 계획입니다. 이 세미나는 한국철학 각 분야의 석학을 모시고 강연과 대담으로 진행됩니다. 이를 통해 한국철학을 전공하는 학부생 및 대학원생이 연구 주제를 탐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에는 그 첫 시간으로 유소영 선생님, 한정길 선생님을 모시고 "다산의 중용 해석에 있어서 庸의 수양론적 의미 재고"와 "한국 양명학 연구 방법"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유소영 선생님은 Brown University에서 다산 정약용의 수양론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으시고 현재 고려대학교 철학과에서 연구 중이십니다. 한정길 선생님은 연세대학교에서 왕양명의 마음의 철학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으시고 현재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에서 연구 중이십니다. 세미나는 아래의 일정과 같이 진행됩니다.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
- 작성일 2025-04-21
- 조회수 152
- 첨부파일 (0)
-
- [KAEP 콜로키움(24.12.19.)안내] 정대현(이화여자대학교)
- 안녕하세요.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 K-학술확산연구센터입니다. 저희 센터에서는 ‘우리’라는 주제로 학제적 연구 콜로키움 시리즈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 두 차례의 콜로키움에서는 “한국어 우리에 대한 분석철학계의 논의와 새로운 제안”(06/05, 이병욱 토론토대학 철학과 교수), “Affective Sentiments and the Politics of Uri: Toward a Korean-Style Democracy (‘우리’라는 정서와 정치: 한국형 민주주의를 향하여)”(07/25, 김성문 홍콩시티대 공공정책학과 교수) 라는 제목으로 ‘우리’에 대한 학제적 논의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3차 콜로키움에서는 이화여대 정대현 교수님께서 “우리 마누라: 음양적 해석”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하실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아래는 현장에 오시기 어려운 분들을 위한 줌링크입니다. https://us02web.zoom.us/j/89281064765?pwd=YN4070VA7GJPOjwDf5O8b4BpCbbPY3.1 회의 ID: 892 8106 4765 암호: 819665
-
- 작성일 2024-12-10
- 조회수 268
- 첨부파일 (0)
-
- 제4회 세계유교문화연구컨소시엄(WCRCC) 안내
- 안녕하세요.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입니다. 이화여자대학교 철학연구소,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 산하 K학술확산연구센터와 BK21 4단계 교육연구단,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제4회 세계유교문화연구컨소시엄(The 4th Biennial Conference of the World Consortium for Research in Confucian Cultures 2024) <Between Confucianism and the Future: Emotion, Freedom and Relationships>을 개최합니다. 이번 컨소시엄은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진행되며 <유교와 세계 사이: 감정, 자유 그리고 관계>라는 주제로 오늘날 유교가 인간의 감정, 개인의 자유, 가족 및 공동체 관계에 대해 어떠한 제언을 할 수 있는지를 논의합니다. 아울러, 다양한 분야 연구자의 목소리를 통해 유교 문화의 미래 가능성을 확인하는 소통의 장이 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작성일 2024-11-01
- 조회수 288
- 첨부파일 (1)
-
- K-학술확산연구센터 박소정 센터장 Coursera <Exploration to Korean Philosophy> 강좌 개설
- 한국철학문화연구소 K-학술확산연구센터 박소정 센터장(유학동양한국철학과 교수)가 강의하는 Exploration to Korean Philosophy 강좌, 와 강좌가 Global MOOC 플랫폼인 ‘Coursera’에 개설되었다. 2012년에 만들어진 Coursera는 1억 1300만의 학습자를 보유한 세계 최대의 온라인 공개수업 플랫폼이다. 이번 강좌는 박소정 교수가 2021년과 2023년에 각각 개설한 (IKPC)와 <In Search for the Origins of Korean Philosophy>(SOKP)의 후속 강좌로서, 앞선 두 강좌에서 다루었던 내용보다 더 깊이 있는 주제를 탐구한다. <Exploration to Korean Philosophy>(EKP) 두 강좌는 한국의 지적 전통이 ‘철학’이라는 학문을 수용하면서 재해석된 순간에서 시작하여 거슬러올라가 한국철학의 고유한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다양한 논쟁 및 개념, 주제들을 심도 깊이 다룬다. 이번 강좌는 2021년 7월부터 교육부와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매년 10개가량의 한국철학 강좌를 제작하고 있는 K-학술확산연구센터에서 개발한 강좌로, 해당 센터는 지난 3년간 무려 4개의 한국철학 강좌를 Coursera에 개설하였다. 특히, 이번에 개설한 두 강좌와 기존의 IKPC와 SOKP, 총 4개의 강좌는 한국철학에 관한 Coursera Specialization 프로젝트인 ‘Korean Philosophy Essentials’로 새롭게 선보일 예정이다. 이후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의 전임교원들이 강의하는 강좌 또한 Coursera 플랫폼에 추가로 탑재할 예정이다. 본 강좌는 ‘Coursera’ 홈페이지 (https://www.coursera.org/learn/exploration-to-korean-philosophy-1, https://www.coursera.org/learn/exploration-to-korean-philosophy-2)에서 수강할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 후 모든 주차의 학습을 완료한 학습자는 Coursera에서 발급하는 Shareable Certificate를 발급받을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코세라 홈페이지 참조.)
-
- 작성일 2024-07-23
- 조회수 314
- 첨부파일 (0)
-
- [KAEP 콜로키움(24.07.25.)안내] 김성문(홍콩시티대학) "우리"라는 정서와 정치 – 한국형 민주주의를 향하여
- 안녕하십니까. 성균관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센터에서는 “우리”라는 키워드를 주제로 한국철학의 국내외 최신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학제 간 공동 연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지난 6월 5일 <한국어 “우리”에 대한 분석철학계의 논의와 새로운 제안>에 이은 두 번째 행사로 홍콩시티대학 공공정책학과의 김성문 교수님을 모시고 <"우리"라는 정서와 정치 – 한국형 민주주의를 향하여>라는 제목으로 콜로키움을 개최합니다. 김성문 교수님은 유교 민주주의와 헌정이론, 비교정치이론, 동양정치사상사, 한국 정치 및 정치이론 등의 분야에 탁월한 연구 업적과 통찰력을 보여주고 계시며, Confucian Constitutionalism: Dignity, Rights, and Democracy (Oxford University Press, 2023), Im Yunjida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Theorizing Confucian Virtue Politics : The Political Philosophy of Mencius and Xunzi (Cambridge UP, 2018), Democracy After Virtu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등의 저서를 출간하셨습니다. 7월 25일(목) 10시 30분부터 온라인(Zoom)으로 진행되는 이번 콜로키움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https://us02web.zoom.us/j/82076947162?pwd=HToU2JxnReC9uKAFL4dku6z5fBcs48.1 회의 ID: 820 7694 7162 암호: 163112
-
- 작성일 2024-07-16
- 조회수 386
- 첨부파일 (2)
-
-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초빙공고
-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초빙공고 1. 채용분야 및 지원자격 가. 소속: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 나. 채용분야: 한국유학 다. 채용인원: 1명 라. 임용(계약)기간: 최대 2년11개월(임용예정일: 2024.07.01.) ※ 연구 과제 진행 상황에 따라 재임용 가능 마. 지원자격: 아래 1~3항 모두 충족자 1) 박사학위 소지자 2) 연구원 경력 1년 이상자 3) 연구교수 임용 기준(과제 규모, 급여 재원 확약 등) 충족자 2. 지원서 접수 가. 접수기한: 2024.06.14.(금) 09:00 ~ 2024.06.20.(목) 17:00 나. 제출서류 1) 이력서(자유양식) 2) 최종학위수여증명서 3) 경력증명서(해당자/자격기준 충족여부 확인용) 4) 연구과제 증빙 관련 서류 5) 외국인의 경우, 최종 합격자에 한해 국내체류자격 증명서류 추가 접수 예정 다. 접수방법: 구비서류 일체 스캔하여 이메일 송부(haninmun@skku.edu) ※ 제출서류 파일명은 ‘지원분야_지원자명’으로 기재(ex. 연구교수지원_홍길동) 3. 전형방법: 기초 및 전공심사(추후 일정 및 최종 합격자 개별 통보 예정) 4. 유의사항 가. 제출서류 기재내용이 허위로 판명될 경우 임용이 취소됨 나. 적격자가 없을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음 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제11조에 따라 전자우편으로 제출된 서류는 반환하지 않으며, 제출된 서류 는 채용절차가 종료된 이후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파기될 예정임 라. 문의처: Tel. 02-740-1869 / E-Mail: haninmun@skku.edu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장
-
- 작성일 2024-06-17
- 조회수 450
- 첨부파일 (0)
-
- [뉴스 기사] 한국학, 세계로 날다…지역학 넘어 ‘학술한국’ 선도
- .
-
- 작성일 2024-04-18
- 조회수 0
- 첨부파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