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컨퍼런스 안내] 제2회 성대국제컨퍼런스: 왜 지금 협력인가?
- K학술확산연구 센터장인 박소정 유학동양한국철학과 교수는 제2회 성대국제컨퍼런스 “왜 지금 협력인가”의 두번째 패널 “Cooperation, Altruism, and Individualism: Two Different Paths”에 피터 싱어 교수와 함께 토론자로 참여하여, 재레드 다이아몬드 교수의 기조 강연 “Why are East Asian Societies more cooperative than European/American societies?” 에 대해 ““Uri: Beyond the Individualism-Communalism Duality””라는 주제로 토론한다. 박소정 교수는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로 나누어 동서양을 바라보는 이분법을 넘어서서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 토론한다. 최근 서구 언론에서는 오늘날의 위기 상황을 극복한 한국의 사례를 들어 공동체주의적 혹은 심지어 전체주의적 전통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하기도 하는데, 이는 정의롭지 않은 정부에 끊임없이 저항해온 한국의 과거와 현재 역사를 돌아볼 때 설득력이 부족하다. 박소정 교수는 한국적 사유에서 중심성을 지니는 개념인 “우리”를 분석했을 때 나타나는 타자와 유연하게 묶이면서 자신을 확장하는 열린 자아 정체성이 오늘날의 협력을 위한 좋은 모델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웹링크: http://cooperationnow.kr/
-
- 작성일 2022-10-24
- 조회수 161
- 첨부파일 (0)
-
- [초청강연 안내] 프랭클린 퍼킨스 <『장자』 속의 기술과 양생(養生)>
- 안녕하십니까? 유학동양한국철학과 4단계 BK21 연구단에서 제 11회 해외 학자 초청강연을 개최합니다. 이번 해외 학자 초청강연의 주제는 “『장자』 속의 기술과 양생(養生)”이며, 하와이 주립대학교의 프랭클린 퍼킨스(Franklin T Perkins Jr) 교수님께서 강연을 진행합니다. 진행 일정과 회의 참여 링크는 하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일시 : 2022년 05월 31일(화) 09:00 ~ 11:30 ◈ 장소 : ZOOM 온라인 강연 ◈ 미팅 링크 : https://xinics.zoom.us/j/84728365335 ◈ 미팅 번호 : 847 2836 5335 ◈ 비밀번호 : 25770532 ◈ 주 최 : 성균관대학교 유학동양한국철학과 4단계 BK21 교육연구단,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 성균관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센터
-
- 작성일 2022-05-24
- 조회수 281
- 첨부파일 (0)
-
- [워크숍 안내] K-학술확산연구센터 <빌드 브릿지-세계 속 한국철학> 국제 워크숍 안내
- 안녕하십니까. 오는 5월 27일(금)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 K-학술확산연구센터에서 "빌드 브릿지-세계 속 한국철학(Build Bridge-Korean Philosophy in the World)"라는 주제로 국제 워크숍을 개최합니다. 이번 워크숍은 한국 뿐 아니라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한국철학을 연구하시는 여러 연구자분들을 모시고 한국철학 연구 방법론 및 해외의 한국철학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토론하는 뜻 깊은 학술의 장이 될 것입니다. 이번 워크숍은 한국철학의 연구 방법론을 소개하고 한국철학의 해외 연구 동향을 토론하는 자리인 만큼, 미국과 유럽에서 참여하시는 교수님들께서도 모두 한국어로 발표하실 예정입니다. (질의 응답 과정에서 필요 시, 영어로 질의 응답 가능합니다.) 한국철학과 한국학의 최신 연구 성과를 나누는 세계적 확산의 뜻 깊은 현장에 함께 할 학생 여러분과 연구자 선생님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기대합니다. <온라인 참여(ZOOM)> - 링크: https://us02web.zoom.us/j/82330333761?pwd=bDI1UWxFR2ZYVVpUQ2RxRzY4ZGI4dz09 - 회의 ID: 823 3033 3761 - PW: 20220527 <발표자> - 아메리칸 대학교(American University)의 박진영(Jin Y. Park) 교수님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 학술원의 박소현(Sohyeon Park) 교수님 - 아이오와 대학교(The University of Iowa)의 최도빈(Dobin Choi) 교수님 - 부쿠레슈티 대학교(Universitatea din bucuresti)의 디아나 육셀(Diana Yuksel) 교수님 - 프랑스 사회과학 고등연구원(EHESS)의 이사벨 산초(Isabelle Sancho) 교수님 - 보훔대학교(Ruhr-University Bochum)의 마르틴 겔만(Martin Gehlmann) 교수님 - 베를린 자유대학교(Free University of Berlin)의 블라디미르 글롬(Vladimir Glomb) 교수님
-
- 작성일 2022-05-23
- 조회수 333
- 첨부파일 (0)
-
-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 임용 성균인성교육센터 강보승 박사 (한국철학과 강보승 박사)
- 한국철학과(박사는 동양철학과 한국철학전공) 졸업생 강보승 박사(유학·동양학부 98학번 또는 한국철학과 98학번), 한국철학과 석사(2009), 동양철학과(한국철학전공 박사 2017) 강보승 박사는 2017년 8월, 「퇴계 이황의 수양론 연구」(지도교수: 최일범)로 박사학위(한국철학 전공)를 받고 전통문화연구회, 서울교육대학교, 성균관대 성균인성교육센터 연구원을 거쳐 2022년 2월 충북대학교 윤리교육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박사과정에서 BK21 사업을 통한 연구 논문 발표를 시작으로 다양한 연구 활동을 해온 강보승 박사는 SBS문화재단과 서울장학재단의 박사과정 지원사업에 선정되었고, 상하이 한중인문학 포럼, 하노이 퇴계학 국제학술회의, 연구재단 등재 학술지 등을 통하여 한국 유학과 관련된 다수의 연구 성과를 발표하였다. 또한 인성교육 연구 기획과 시행에 힘써 성균인성교육센터가 ‘2019 대한민국 인성교육 대상’을 수상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교양교육학회 등을 통한 학회 활동을 통해 한국철학과 인문학의 발전과 저변 확대에도 노력하고 있다.
-
- 작성일 2022-02-23
- 조회수 422
- 첨부파일 (0)
-
- 2022 유학대학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 <인문학을 위한 융합교육> 성료
- 2022 유학대학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 <인문학을 위한 융합교육> 성료 본교 유학대학(학장 신정근)에서 겨울방학을 맞아 디지털 인문학에 관심을 가진 성균관대학교 교내외 구성원을 위하여 준비한 2022 <인문학을 위한 융합교육: 디지털 인문학 교육 워크샵>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이 2월 8일부터 2월 11일까지 경영관 Live Virtual Studio 및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 ZOOM 을 통해 진행되었다. 학제 간 융합연구 및 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시대에 정보통신기술의 도움을 받아 새로운 방식으로 인문학 연구 및 교육 등의 지적 활동을 수행하는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은 인문학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가치로 부상하고 있다. 따라서,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더욱 중요시되는 지식의 생산, 전파 및 활용에 있어서의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디지털 인문학’ 연구 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리하여 본교 유학대학에서는 디지털 인문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생, 연구자 등 교내외 구성원을 위해, 최신 디지털 인문학 연구방법에 대한 수요에 발맞춰 본 워크샵을 기획하였다. 본 워크샵은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한국철학문화연구소(소장 박소정)가 주최하였으며 유학동양한국철학과 4단계 BK21연구단(단장 김도일),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 인문학 연구소(소장 김 현), 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회장 김 현)의 공동주최로 열렸다. 강의 프로그램은 김 현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과)교수를 필두로한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속된 디지털 인문학 분야의 우수한 강사진들의 강의로 구성되어 4일에 걸쳐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1일차에는 디지털 인문학의 이해, 디지털 인문학 연구과제 수행 사례 소개를, 2일차에는 디지털 환경에서의 협업, 인문 지식 데이터 편찬 실습을, 3일차에는 인문 지식 콘텐츠 제작 실습 1, 맞춤형 심화학습: 나의 위키, Gephi, Timeline Js, Google My Maps를, 4일차에는 인문 지식 콘텐츠 제작 실습 2, 디지털 인문학 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배우는 순으로 진행되었다. 4일 간의 강의를 통해 참가자들은 디지털 인문학의 역사와 학문특성을 이해하고, 직접 실습에 참여함으로서 디지털 인문학 연구에 참여하거나 디지털 인문학을직접 가르칠 때 필요한 ‘디지털 큐레이션’ 역량을 함양할 수 있었다. 본 프로그램은 코로나위기 가운데서도 철저한 방역이 이뤄지는 가운데 오프라인 현장 참여(경영관 Live Virtual Studio)를 통해 약 20명, 온라인으로 참여하는 청강생 약 50명, 총 70명의 교내외 구성원들이 동시에 참여하였다. 참가자들은 ‘인문 지식 콘텐츠 제작 실습’ 시간에 조별 프로젝트를 통하여 배운 내용을 실제로 구체적인 문제에 적용해 볼 수 있었다. 또한 맞춤형 심화학습 시간을 활용하여 사전에 신청한 심화 학습과목인 위키 페이지 제작기술, Gephi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관계망 구현기술, Timeline Js 및 Google My Maps을 활용한 시계열, 지적 데이터 가공 기술을 익힐 수 있었다. 수업에 참여한 참가자들은 “각기 다른 전공분야의 사람들이 실질적으로 소통하고 협업하여 융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었다”, “디지털 인문학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었다”, “4일에 걸쳐 팀원들과의 협력을 통해 성취한 결과가 너무 값졌다” 등의 소감을 남겼다. 마지막 날에는 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 회장 김현 교수가 직접 학생들에게 격려사와 함께 수료증을 전달하였다. 이어 한국철학문화연구소 소장 박소정 교수의 폐회사로 4일 간의 일정을 마무리짓고 성료했다. 박소정 교수는 “참가자들이 코로나라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방역에 잘 협조하여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다”며 워크샵 사회를 맡은 안승우 교수 외 조교(유학동양한국철학과 하나, 서재현), 온오프라인 강의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도와준 라이브 스튜디오 관리팀에 감사를 전했다. 또한, “인문학을 하는 사람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여 더 많은 그림과 꿈을 키울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시작한 강의에, 다양한 분들이 참여해 주신게 의미가 컸고, 앞서 강의에서 김현 교수가 언급한, ‘학생들에게 다 가르치려고만 하지 않는 디지털 인문학 정신’에 따라 본 워크샵에서 익힌 디지털 인문학 지식과 기술을 각 분야에서 펼쳐 나갈 참가자들에 대한 기대를 전했다. 마지막으로, “계속되는 코로나상황 가운데서도, ‘할 수 있을 때 한다’ 라는 생각으로 프로그램을 열 수 있었고, 어려움 가운데서도 한 곳에 모여준 참가자들의 협조와 참여 덕에 해낼 수 있었다”며, “나흘 내내 성균관대까지 걸음해준 한국학 중앙연구원 관계자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린다”는 말을 끝으로 폐회사를 마쳤다. 4일 간 진행된 강의 및 학생들의 발표 영상, 강의 자료 등은 성균관대학교 아이캠퍼스에 탑재될 예정이다.
-
- 작성일 2022-02-17
- 조회수 235
- 첨부파일 (0)
-
- [워크샵안내] 인문학을 위한 융합교육 <디지털 인문학 교육 워크샵> 안내
- 안녕하십니까.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에서는 작년 겨울방학에 이어 2022 인문학을 위한 융합교육 2탄 <디지털 인문학 교육 워크샵>을 준비하였습니다. 학제 간 융합연구 및 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시대에 정보통신기술의 도움을 받아 새로운 방식으로 인문학 연구 및 교육 등의 지적 활동을 수행하는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은 인문학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가치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인문학은 디지털 기술을 인문학 연구에 활용하여 수많은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해석을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기존의 양적 연구에 머물지 않고, 인문학의 아이디어가 기존의 디지털 기술을 견인할 수 있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더욱 발전하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본교 유학대학에서는 디지털 인문학을 소개하고 관련분야의 연구와 콘텐츠 개발 과정을 살펴보았던 작년에 이어, 올해는 더욱 구체적인 디지털 인문학적 연구 방법과 기술에 관한 교육을 시행하기 위하여 워크샵을 기획하였습니다. 이번 워크샵은 전통적인 연구 방법론에 익숙한 연구자, 대학원생, 학부생들에게 디지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인문학 연구와 교육, 학문 분과 간의 연계 및 소통 등을 통해 디지털 문해력(Digital Literacy) 능력을 키워 정보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방식의 인문학 연구와 교육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본 워크샵은 디지털 인문학 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에서 진행해주실 것이며,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참여자들이 실질적인 연구에 적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방법론을 활용한 인문 지식 데이터 및 콘텐츠 편찬 실습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21세기 디지털 시대를 맞아 다채롭게 발전하고 있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인문학 연구에 관심이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 일시: 2022년 2월 8일 화요일 ~ 2월 11일 금요일 ● 장소: 성균관대학교 경영관 Live Virtual Studio 및 ZOOM 온라인 화상 회의실 ● 수강대상: 디지털 인문학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 ● 수강인원: 수강생 30명(오프라인 참석, 수료증 발급대상), 청강생 20명(온라인 참석, 수료증 발급불가) *수강생은 코로나 방역 상황으로 오프라인 참석이 불가능할 경우 온라인으로 참석 가능 *총 8강 중 7강 이상 출석한 수강생에 한하여 수료증 발급 예정 ● 신청기간: 2022년 1월 10일~ 21일 (선착순 마감) ● 신청링크: https://forms.gle/Rey6cKBGnwDqyCgg8 ● 문의: skkuhumanity@gmail.com/02-740-1869 *자세한 워크샵 일정은 아래의 포스터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 작성일 2022-01-11
- 조회수 308
- 첨부파일 (1)
-
- [특강 안내] <유교의 수양과 자기실현> 디지털 방법론 세미나
- <유교의 수양과 자기실현> 과목에서 이번 학기 마지막 디지털 방법론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이번 강의는 '파이썬을 이용한 CTEXT 및 한국고전종합DB 원문텍스트 웹 크롤링 사례 및 실습'이라는 제목으로, 유학대학 유학동양한국철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신 석승징 학우께서 강의를 진행해주십니다. 석승징 학우께서는 박사학위의 연구주제를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디지털 방법론을 이용하여 스스로 코딩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웹 크롤링을 활용해 본 경험을 공유해주실 예정입니다. 더불어 직접 제작하신 코딩 프로그램을 활용한 간단한 실습 또한 예정되어 있습니다. 강의에 참석하고 싶으시거나 궁금한 사안이 있으신 분들은 포스터에 기입된 이메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유학대학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작성일 2021-11-17
- 조회수 289
- 첨부파일 (0)
-
- [특강 안내] <유교의 수양과 자기실현> 과목에서 진행하는 디지털 방법론 세미나
- 유학대학의 <유교의 수양과 자기실현> 과목에서 진행하는 디지털 방법론 세미나를 소개합니다. 앞으로 남아있는 4차례 강의 중 이번주 목요일부터 3차례의 강의가 연이어 진행됩니다. 두 번째 강의는 10월 28일 목요일 오후 12시 ‘역사학도의 ‘디지털 개념사’ 모색기’라는 제목으로,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 재직 중이신 허수 교수님께서 강의를 진행해주십니다. 네트워크 분석, 어휘연결망 분석 등의 디지털 방법론을 활용한 개념사 연구를 소개해주실 예정입니다. 세 번째 강의는 10월 29일 금요일 오전 9시 ‘Quantitative Approaches to Concepts of Mind and Body’라는 제목으로,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의 Edward Slingerland 교수님께서 강의를 진행해주십니다.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을 활용하여 중국 고대 개념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를 소개해주실 예정입니다. (본 강의와 질의응답은 영어로 진행됩니다.) 네 번째 강의는 11월 1일 월요일 오후 6시 ‘디지털 방법론을 통한 한문고전텍스트 연구 및 논문작성’이라는 제목으로, 성균관대학교 유학동양한국철학과 서재현 박사과정생과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선영 박사과정생께서 강의를 진행해주십니다. 디지털 방법론을 활용하여 논어와 맹자 등의 한문고전텍스트를 분석한 석사학위논문의 작성과정과 그 과정에서 얻게 된 노하우를 소개해주실 예정입니다. 3차례의 강의는 각각 다른 날짜에 다른 온라인 회의실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강의 참석을 원하시는 분은 본인이 참석하고자 하는 ‘강의명’을 정확하게 명시하여 포스터에 기입된 이메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유학대학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작성일 2021-10-27
- 조회수 416
- 첨부파일 (0)
-
- [특강 안내] 김현, 디지털 인문학의 이해와 디지털 큐레이션
- 이번 학기에 새롭게 개편된 유학대학의 <유교의 수양과 자기실현> 과목에서 총 5회에 걸친 디지털 방법론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첫번째 강의는 '디지털 인문학의 이해와 디지털 큐레이션'이라는 제목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과에 재직 중이신 김현 교수님께서 강의를 진행해주십니다. 김현 교수님은 고려대학교,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철학을 전공하시고, 이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시스템공학 연구소 선임연구원, 서울시스템(주) CTO,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책임연구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응용정보학과교수 등을 역임하셨습니다. 한국의 ‘디지털 인문학’ 연구 1세대 학자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 인문정보학과를 설치 및 운영하시면서 현재도 꾸준히 디지털 인문학 분야의 연구를 이어오고 계십니다. 이번 강의는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기초적인 수준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해줄 수 있는 강의와 간단한 실습으로 구성될 예정입니다. 강의에 참석하고 싶으시거나 궁금하신 사안이 있으신 분들은 포스터에 기입된 이메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유학대학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작성일 2021-10-18
- 조회수 318
- 첨부파일 (0)
-
- 한국철학문화연구소 현판식 및 한국철학 학문후속세대 콜로키움
- 안녕하십니까? 최근 무더위와 코로나가 함께 기승을 부리고 있는 와중에 건강히 잘 지내고 계시는지요? 뵙기가 한층 더 어려워진 상황에 안타까운 마음이 더합니다. 이렇게 메일을 드리게 된 것은 오는 8월 23일로 예정된 본 연구소 현판식과 24일로 예정된 콜로키움에 대해서 알리고, 초대의 말씀을 드리기 위해서입니다. 본 연구소가 개소한 지도 어느새 6년이 지났습니다. 그동안 본 연구소는 다양한 학술행사 개최, 우계문화재단과의 MOU 체결, 학문 후속세대 양성 등을 통해 나름의 내실을 다져왔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교육부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시행하는 대형 과제인 K-학술확산연구소 사업에 선정됨으로써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맞이하였습니다. 이에 본 연구소는 작년에 변경한 연구소 명칭인 ‘한국철학문화연구소’ 현판을 새로 제작하여 현판식을 개최하고자 합니다. 여러분을 모시고 연구소의 미래를 위해 마음을 새로이 가다듬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아울러 24일에는 한국철학전공 학문후속세대들이 한 학기 동안 함께 공부해 온 내용을 소개하고 발표하는 콜로키움을 개최할 예정입니다. 발표를 맡은 학생들은 지난 2월부터 각자의 논문 주제를 발표하고 함께 토론하는 시간을 가져왔습니다. 그리고 동학들과 선배님들의 도움에 힘입어 학위논문 주제를 발전시키고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번 콜로키움이 한국철학을 공부하고 있는 동학들의 논문 작성을 독려하고 함께 성장하여 더욱 발전적인 학술 환경을 조성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비록 현재의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 온라인으로 함께할 수밖에 없지만, 양일간의 뜻깊은 교류의 장에 참석하셔서 마음을 모아주시고 아낌없는 질정과 격려를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무엇보다도, 그동안 본 연구소에 관심을 가져주신 연구소 내외의 모든 선생님들께 다시 한번 깊은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 한국철학문화연구소 현판식 일시: 2021년 8월 23일(월) 10:00-11:30 장소: Webex 온라인회의 (미팅번호: 170 913 7273/비밀번호: korphil) 온라인 접속 링크: https://skku-ict.webex.com/skku-ict/j.php?MTID=m6bfa03c98dc443aacac3a1b8b6d43100 ◇ 세부일정 입장 -10:00 개회사 10:00-10:10 박소정 (한국철학문화연구소 소장) 격려사 10:10-10:25 연구소 고문 및 운영위원 연구소 구성원 소개 10:25-10:40 상호교류의 시간 연구소 소식 10:40-11:10 연구소 이름 변경 및 전화번호 신설 연구소 선정사업(K-학술확산연구소 사업) 소개 연구소 공간의 변화 연구소 내 진행중인 스터디 (익일의 콜로키움 소개) BK연구교수 신-구 교체 현판식 11:10~11:20 현장 참석자 제위 (4층 연구소로 이동) 폐회사 11:20~11:30 강경현 (K-학술확산연구센터 부센터장) ◆ 한국철학 학문후속세대 콜로키움 일시: 2021년 8월 24일(화) 13:00-17:00 장소: Webex 온라인회의 (미팅번호: 170 700 1895/비밀번호: korphil) 온라인 접속 링크: https://skku-ict.webex.com/skku-ict/j.php?MTID=m55e14af50710a142b7849b175a1306d1 ◇ 세부일정 개회식 및 모임 소개 13:00-13:10 13:10-13:20 개회사: 박소정 모임 소개 및 1부 사회: 김은영 논문발표1/논평 /질의응답 13:20-14:00 성호 이익의 사단칠정론에 나타난 공공성(公共性)의 철학적 기초 - 공감(共感)을 통한 공정(公正)의 실현 - 발표: 하나 / 논평: 김단영 논문발표2/논평 /질의응답 14:00-14:40 『도암집(陶菴集)』에 나타난 신주(神主)의 상징성 연구 - 애경(愛敬)과 명분(名分)의 통합적 고찰 - 발표: 홍채연 / 논평: 배제성 휴식 14:40-14:50 2부 사회: 배제성 논문발표3/논평 /질의응답 14:50-15:30 다산 정약용의 수양론에서 집중(執中)의 위상 발표: 하한솔 / 논평: 김은영 아이디어발표1 /논평/질의응답 15:30-16:10 조선 후기 인심도심설 연구: 응용주자학과 탈주자학적 흐름 – 남당, 하곡, 다산을 중심으로 - 발표: 김가람 / 논평: 강보승 아이디어발표2 /논평/질의응답 16:10-16:50 정암 이현익의 「주정설(主靜說)」 분석 – 주정(主靜)과 정좌(靜坐)의 해석을 중심으로 - 발표: 곽혜성 / 논평: 김준태 폐회식 16:50-17:00 폐회사: 강경현 *진행방식: 20분 발표, 10분 논평, 10분 질의응답
-
- 작성일 2021-08-17
- 조회수 352
- 첨부파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