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Close
Search
 
  • home
  • 소개
  • 연혁

소개

연혁

成均館大學校 韓國哲學科 沿革

 

1946년 성균관대학 전문부에 철정과(哲政科)와 경사과(經史科)가 편성

1948년 9월 문학부가 신설되고 그 안에 동양철학과 설치

1953년 2월 성균관대학교가 종합대학으로 승격하면서 동양철학과 석사과정 신설

1957년 6월 동양철학과 박사과정 신설

1960년 3월 류승국(柳承國, 1960.3.~ 1988.2.) 교수 부임

1967년 12월 동양철학과가 유학대학으로 승격하면서 유학과와 철학과 신설

1976년 3월 이동준(李東俊, 1976.3.~2002.8.) 교수 부임

1980년 3월 금장태(琴章泰, 1980.3.~1985.2) 교수 부임

1981년 12월 유학대학 내에 한국철학과와 동양철학과를 신설하여 유학과, 한국철학과, 동양철학과 3개 학과 체제로 개편 (류승국, 이동준, 금장태 교수 한국철학과로 소속 변경)

1985년 3월 남상락(南相樂, 1985.3.~2004.11.) 교수 한국철학과에 부임

1988년 3월 최영진(崔英辰, 1988.3.~ 2017.8.) 교수 한국철학과에 부임

1988년 3월 한국철학과 석사과정 신설

1988년 4월 한국철학과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연구회” 발족 

1989년 3월 최일범(崔一凡, 1989.3.~) 교수 한국철학과에 부임

1996년 3월 학부제 도입에 따라 유학대학이 유학동양학부로 재편되면서 학부는 유학, 한국철학, 중국철학의 3개 전공, 일반대학원은 유학과, 한국철학과, 동양철학과의 3과 체제 구축

2003년 학부 3개 전공이 유학동양학부로 통합 

2008년 고전학습 강화를 위한 사서(四書) 대회를 개최

2015년 도원 류승국 교수와 현담 류정동 교수를 기념하기 위해 퇴계인문관 31313호를 “도원· 현담강의실”로 명명

2017년 3월 한국철학과 산하에 한국철학인문문화연구소 신설

2018년 2월 박소정(朴素晶, 2018.2.~ ) 교수 한국철학과에 부임

 

韓國哲學文化硏究所 沿革

 

2016년 11월 한국철학과 산하 연구소 신설 논의 및 설립의결

2016년 12월 “한국철학․인문문화연구소” 설립신청서 제출

2017년 3월 연구소 설립승인 및 최영진 교수 1대 연구소장 취임

2017년 4월 한국철학․인문문화연구소 현판식

2017년 7월 연구소 창립기념 학술회의 개최

2017년 8월 연구총서 발간(최영진 교수, 한국성리학의 발전과 심학적·실학적 변용)

2017년 9월 최일범 교수 2대 연구소장 취임

2018년 9월 도원/현담 기념학술회의 공동 주최

2018년 10월 목은학술대회(목은 사상의 재조명) 공동 주최

2018년 11월 매죽헌 성삼문 선생 탄신600주년기념 특별강연회 주관

2019년 5월 우계학술문화재단과 우계학술 연구진흥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

2019년 10월 우계문화재단‧한국철학인문문화연구소 공동학술대회 개최

2020년 9월 연구소 명칭 변경 : 한국철학문화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