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 연구총서 『 유교와 한국 근대성 - 현대 한국 사회의 기원에 대한 고찰』 세종도서 선정
-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소장 김도일) 산하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에서 2024년 3월에 연구총서 4권으로 출간한 나종석 교수의 저서 『유교와 한국 근대성 - 현대 한국 사회의 기원에 대한 고찰』이 2024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추천도서로 선정되었다. 이는 2023년 연구총서 1권으로 발간된 『대동민주주의와 21세기 유가적 비판이론의 모색』이 세종도서로 선정된 것에 연이은 성과이다. □ 유교 사상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인류가 함께 지향할 이념과 문화를 발굴하는 것을 비전으로 삼고 있는 유교문화연구소는2021년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에 선정되어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를 설립하였다. □ 본 연구센터는 전통 경학이 쇠퇴한 상황에서 현대 사회와 직결된 유가적 가치를 재발굴하고, 이를 통해 우리 현실을 비판하는 방법을 모색 중이다. 그 일환으로, 시민성으로 재구성이 가능한 전통적 덕성과 이를 기초로 실현되는 공동체적 가치를 탐구 중이다. □ 이를 위해 본 센터에서는 “겸손”과 같은 유가적 덕목을 탐색하는 한편, 현대적 경학의 방향을 탐구한 <현대경학의 방법론적 모색>, 유가적 조화의 이상에 담긴 가능성을 살핀 <질서 위의 조화: 군신공치의 이념과 실제>, <연대와 조화>, 여성주의와 유학의 대화 가능성을 모색한 <포스트휴먼 시대, 여성주의적 유학> 등의 학술대회를 개최하며 연구를 심화해 나가고 있다. □ <유교와 한국 근대성-현대 한국 사회의 기원에 관한 고찰>은 그러한 노력 가운데서도 동아시아의 경험과 전통을 기반으로 한국적인 정치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의 결실이다. 그 저자는 본 센터 공동연구원인 나종석 교수이다. 이번 저서는 이미 연구센터의 연구총서로 발간된 저자의 또 다른 저서 『대동민주주의와 21세기 유가적 비판이론의 모색』의 주제와 문제의식을 잇는 책이다. 이전 저서가 대동민주주의라는 이름으로 유가적 비판이론의 가능성을 모색해 본 것이라면, 이번 저서는 유가적인 대동의 민본주의 전통이 한국의 민주주의가 전개되어 온 경로에 미친 영향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서 오늘날의 우리 현실을 정확히 이해하는 동시에 앞으로 추구할 대안적 근대성의 전망 또한 그려보기 위함이다. □ 도서 정보 및 연구센터에서 진행하고 있는 여러 행사와 기획에 관한 더 자세한 사항은 유교문화연구소 홈페이지(ygmh.skku.edu) 또는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 홈페이지(swb.skku.edu/ccecc)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지은이 소개 : 나종석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헤겔과 비코에 대한 논문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회와철학연구회 회장과 한국헤겔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및 국학연구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독일관념론, 현대 서구 정치철학, 동아시아 유학사상 그리고 한국 현대사상 등이다.
-
- 작성일 2025-02-19
- 조회수 64
- 첨부파일 (0)
-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기관 공동학술회의 <조화를 위한 동아시아적 다원성> 안내
- 안녕하십니까! 최근 한파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항상 건강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오는 2월 11일,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에서 "조화를 위한 동아시아적 다원성"이라는 주제로 연구기관 공동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동아시아학술원에서는 지난 20여 년간 '동아시아'라는 의제를 중심으로 학계에 새로운 활력을 조성하고자 부단히 노력해왔습니다. 학술원의 연구 성과 공유 및 지식 교류를 위한 이번 학술대회에 여러 선생님들을 정중히 초청하오니, 많이 참석하시어 토론의 장을 함께 빛내주시기를 바랍니다. ▣ 행사명: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기관 공동학술대회 ▣ 주제: 조화를 위한 동아시아적 다원성 ▣ 일시: 2025년 2월 11일 (화) 09:30-17:10 ▣ 장소: 성균관대학교 600주년기념관 6층 10602호 소향강의실 ▣ 주최: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대동문화연구원, 동아시아미래가치연구소, 서베이리서치센터, 성균중국연구소, 유교문화연구소 비판유학·현대경학연구센터
-
- 작성일 2025-02-05
- 조회수 83
- 첨부파일 (0)
-
- 학술대회 <공자 문하를 통해 본 공자 사상의 발전 경로들> 안내
- 안녕하십니까! 오는 1월 17일,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에서 한국공자학회와 함께 공동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공자 문하를 통해 본 공자 사상의 발전 경로들"이라는 주제하에 진행되는 이번 학술대회는 보다 다채로운 시각으로 공자사상을 이해하기 위한 취지에서 기획되었으며, 공자-맹자-순자로 이어지는 단선적 흐름에서 벗어나, 사맹학파 이외의 공자 제자들을 통해 공자와 공자 문하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도모하고자 합니다.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행사명: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 한국공자학회 공동학술대회 ○주 제: 공자 문하를 통해 본 공자 사상의 발전 경로들 ○일 시: 2025년 1월 17일 (금) 09:30-17:00 ○장 소: 성균관대학교 600주년기념관 4층 10408호 ○주 최: 한국공자학회,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 비판유학현대경학연구센터, 성균관대학교 유학동양한국철학과 bk21교육연구단, 山東大學曾子研究所
-
- 작성일 2025-01-10
- 조회수 146
- 첨부파일 (0)
-
- 국제워크숍 <동아시아적 맥락에서 본 순자> 안내
- 발표자, 토론자, 그리고 내빈 여러분께, 안녕하십니까?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에서는 오는 12월 20일(금)과 21일 양일에 걸쳐서 국제워크숍 <동아시아적 맥락에서 본 순자>를 개최합니다. 저희 연구센터는 현대 사회와 직결되는 유가적 지혜를 발굴하고, 현대적 시민성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전통적 덕성과 이에 기초하여 실현될 수 있는 공동체적 가치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순자 연구자들이 모여서 순자 사상에 담긴 철학적 함의를 다각도로 고찰하는 한편, 현대 학계의 순자 연구의 현황과 전망에 대해서도 토론해 보고자 합니다. 이에 여러 선생님들을 정중히 초청하오니, 많이 참석하시어 토론과 교류의 장을 함께 빛내주시길 간절히 바랍니다. (※이번 워크숍의 발표와 토론은 중국어로 진행됩니다. ) 그럼 학회에서 뵙겠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 배상
-
- 작성일 2024-12-12
- 조회수 151
- 첨부파일 (0)
-
- "동아시아 시각에서 본 주자학의 발전과 현황(東亞視角下的朱子學發展與現況)" 학술교류회 안내
- 안녕하십니까. 오는 2024년11월14일(목),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에서 중국 복건사회과학원 학자들과 함께 학술교류회를 개최합니다. "동아시아 시각에서 본 주자학의 발전과 현황(東亞視角下的朱子學發展與現況)"이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교류회를 통해 주자학 연구에 대한 많은 영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개최 성과는 추후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 작성일 2024-11-13
- 조회수 115
- 첨부파일 (0)
-
- 중국현대철학연구회-유교문화연구소 공동 학술발표회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에서는 오는 11월 9일(토) 성균관대학교 600주년기념관 10408 호에서 중국현대철학연구회와 공동으로 학술발표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발표회는 김도일 선생님과 배다빈 선생님 두 분의 발표로 진행됩니다. 고전에 대한 정밀한 철학적 해석과 그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둘러싼 유익한 토론이 펼쳐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여러 선생님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 배상
-
- 작성일 2024-11-06
- 조회수 196
- 첨부파일 (1)
-
- 해외학자 초청강연 <유교 도덕 심리학의 독특한 특징들과 그 철학적 함의들> 안내
- 안녕하십니까?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와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 유학동양한국철학과 4단계 BK21 교육연구단이 함께 해외학자 초청강연을 개최합니다. 오는 10월 30일(수) 오전 9시 반부터 11시 반까지 석봉래 교수님(미국 알버니아대 철학과)을 모시고 <유교 도덕 심리학의 독특한 특징들과 그 철학적 함의들>이라는 제목으로 강연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강연에서는 유교 도덕 심리학의 독특한 특성을 살펴보고 그것이 가지는 함의점들을 이성, 감정, 동기의 통합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합니다. 석봉래 교수님의 주요 연구 분야는 마음철학, 도덕심리학, 신경미학, 아시아 비교철학이며, 최근에는 전통적 철학 주제를 인지과학의 최전선으로 끌어올리는 학제 간 및 비교 연구에 중점을 두고 계십니다. 이번 강연은 한국어로 진행됩니다. 여러 선생님들의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
-
- 작성일 2024-10-24
- 조회수 159
- 첨부파일 (0)
-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 해외학자 초청강연 안내
- 안녕하십니까 ?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는 현대 사회와 직결되는 유가적 지혜를 발굴하고, 현대적 시민성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전통적 덕성 및 이에 기초하여 실현될 수 있는 공동체적 가치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센터에서는 오는 9월 26일(목) 오후 4시 부종민 선생님(교토대 법학연구과)을 모시고 <정치사상사 속 마루야마 마사오 - 논쟁사와 해석사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초청강연회를 개최합니다. 근대라는 변곡점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역사와 사상을 바라봄에 있어서 마루야마 마사오의 관점은 중요한 참조점이 되어 왔습니다. 이번 강연은 마루야마 마사오의 사상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 기대합니다. 김민혁(경희대 공공거버넌스연구소) 선생님께서 지정토론자로 참여하시어 논의가 더욱 풍부해지도록 도와주실 예정입니다. 여러 선생님들의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 배상 ◎ 일시: 2024년 9월 26일(목) 16:00~18:00 ◎ 장소: 600주년 기념관 4층 10408호 ◎ 진행방법: 현장 발표 ◎ 주최: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
-
- 작성일 2024-09-13
- 조회수 165
- 첨부파일 (1)
-
- 학술대회 <포스트휴먼 시대, 여성주의적 유학> 개최 - 유학과 여성주의가 함께 그려보는 미래 -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 학술대회 <포스트휴먼 시대, 여성주의적 유학> 개최 - 유학과 여성주의가 함께 그려보는 미래 - □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소장 김도일)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는 오는 8월 23일 오전 9시 30분 성균관대학교에서 여성주의와 유학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제목은 “포스트휴먼 시대, 여성주의적 유학”이다. 포스트휴먼 시대라고 하는 인류사적 전환기에서 타자에 대한 존중과 공감은 여전히 중요한 도덕적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의미에서 타자성과 차이에서 출발하는 여성주의와 관계성을 지향하는 유학의 만남은 과연 어떤 생산적인 대화를 가능하게 하며 그리하여 어떤 새로운 미래상을 제시하게 될까? □ 여성주의와 유학은 서로 화해하기 어려운 대척점에 있다고 생각되기 쉽다. 여성주의가 남녀평등을 기치로 전통적인 사회관계나 가족 질서에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한다면, 유학은 오히려 그러한 전통적 관계에 깊이 뿌리박고 있기 때문이다. 유학의 가부장성, 남성중심성을 부정할 수는 없으나, 그것을 넘어서는 방법이 유학을 완전히 떠나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인정하든 인정하지 않든 유학은 현재 우리의 삶을 일정 정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포스트휴먼이라는 새로운 조건 속에서의 새로운 시도 역시 ‘우리’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유학’ · ‘전통’ 폐기라는 단순성이 아니라 유학을 여성주의 방법론을 통해 재해석, 재배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 포스트휴먼이라는 주제는 그동안 당연시해왔던 인간다움의 경계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새로운 질문과 성찰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가령, 인공지능을 비롯한 고도의 테크놀로지가 이미 여성보다는 남성 친화적인 편향성을 가지고 있다면, 그에 의해 새롭게 구성될 삶의 조건들이 기존의 젠더 불평등을 재생산하거나 심지어 더 강화할 위험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가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당장 제기될 수 있는 현안이라면, 유학은 여기에 관심을 가짐으로써 지금의 시대적 과제를 의식하는 더 확장된 시각에서 공동체의 미래상을 구상해 보는 계기를 얻을 수 있다. □ 이 학술대회는 사회적 갈등이 팽배한 현재의 상황, 그리고 포스트휴먼 등으로 상징되는 미래적 과제 등에 대하여 유학과 여성주의가 생산적인 대화를 나누고 소통할 수 있는 공통의 지평을 마련해 보려는 시도이다. 그 안에서 ‘더 나은 전통 문화 해석’, ‘확장된 공동체의 안녕’과 같은 목표를 설정하고 그들 사이의 접점을 찾고 그려보자는 것이다. □ 이러한 학회의 취지에 맞추어 대화의 폭을 넓게 꾸렸다. 여성주의, 유학, 포스터 휴먼 관련 분야의 여러 전문가들을 초청하였고, 성균관대 유학동양한국철학과 BK21 교육연구단과의 협조를 통해 동․서양 철학을 아우르는 학문후속세대들의 다양한 주제 발표와 토론을 마련하였다. □ 학술대회 참여 : 학술대회는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31501호에서 진행되며 당일에 학회장을 방문하여 바로 참여할 수 있다. □ 발표 일정
-
- 작성일 2024-08-05
- 조회수 225
- 첨부파일 (0)
-
- 학술대회 <포스트휴먼 시대, 여성주의적 유학> 안내
- 안녕하십니까? 무더운 날씨에도 항상 건강하시고 평안하시길 기원합니다.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에서는 오는 8월 23일(금)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31406호(31511/31512 동시 진행)에서 <포스트휴먼 시대, 여성주의적 유학> 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저희 연구센터는 현대 사회와 직결되는 유가적 지혜를 발굴하고, 현대적 시민성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전통적 덕성과 이에 기초하여 실현될 수 있는 공동체적 가치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여성주의와의 대화를 통해서 유학 사상을 반성적으로 재검토하고 우리 공동체의 더 나은 미래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 또한 모색해 보고자 합니다. 이에 여러 선생님들을 정중히 초청하오니, 많이 참석하시어 토론과 교류의 장을 함께 빛내주시길 간절히 바랍니다. 그럼 학회에서 뵙겠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 배상
-
- 작성일 2024-07-31
- 조회수 243
- 첨부파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