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학술대회 [현대경학의 방법론적 모색Ⅱ - 21세기 성리학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안내 NEW
- [초청의 글] 여러 선생님들께, 즐거운 설 연휴 보내셨는지요?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에서는 2021년부터 [비판유학·현대경학]이라는 아젠다 하에서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센터의 아젠다인 '비판유학 현대경학'을 간략히 소개드리자면, 현대 한국인의 경험에 근거한 경전 읽기를 통해 전통시대의 유가적 덕목들이 현대사회에 대한 성찰적 대안으로서 ‘시민 덕성’으로 재구성될 수 있는지를 모색하는 시도입니다. 저희 연구센터는 소기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어떻게 경전에 접근할 것인가?”의 문제에 대한 고민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2022년 5월 <현대경학의 방법론적 모색 - 경학의 시대에서 현대의 경학에까지>를 주제로 한 학술대회를 진행했습니다. 이를 통해 경학 및 이와 유관한 여러 분과 학문의 연구 지형을 확인하고, 그간 소홀하거나 부족했던 경학 연구의 시각과 방법론을 모색할 수 있었습니다. 금번 학술대회에서는 지난 학술대회의 성과를 바탕으로 2월 10일(금)에 <현대경학의 방법론적 모색Ⅱ - 21세기 성학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고민의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여러 선생님들의 발표를 통해 성리학을 둘러싼 상반된 시선과 다양한 연구방법론의 시도들을 회고하고 앞으로의 현대경학 방법론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뜻을 함께 하시는 선생님들의 관심 부탁드립니다. 한 가지 송구한 점은 장소가 협소한 관계로 참가 인원에 제약이 있을 것 같습니다. 참석을 원하시는 선생님께서는 메일(ccproject@skku.edu)을 통해 사전 참가 신청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 배상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홈페이지: ygmh.skku.edu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 swb.skku.edu/ccecc
-
- 작성일 2023-01-25
- 조회수 13
- 첨부파일 (0)
-
- 제11차 전문가 초청 강연회 <세계시민으로서의 동양 시민론 : 군자-시민론을 넘어서> 안내
- 안녕하십니까? 저희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는 2021년부터 전통 유가적 덕목들의 재발견 및 시민성으로의 재구성을 주요 목표로 연구활동을 이어오고 있으며, 아울러 제2차년도부터는 병리적 현상으로서의 한국 사회의 능력주의에 대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센터에서는 오는 1월 31일(화) 오후 3시 김병환 선생님(서울대 윤리교육과)을 모시고 <세계시민으로서의 동양 시민론 : 군자-시민론을 넘어서>라는 주제로 제11차 전문가 초청강연회를 개최합니다. 여러 선생님들의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 배상 ◎ 일시 : 2023년 1월 31일(화) 15:00~17:30 ◎ 장소 : 600주년 기념관 4층 10408호 ◎ 진행방법 : 현장 발표 및 ZOOM 화상 회의 병행 ◎ 주최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Zoom 회의 참가 - 비판유학 현대경학 제11차 전문가 초청강연회 https://us02web.zoom.us/j/88549324105?pwd=WXBMUlc3ZXU5ckFtUTQ4aXBjd0ZNQT09 회의 ID: 885 4932 4105 암호: 488861
-
- 작성일 2023-01-17
- 조회수 24
- 첨부파일 (0)
-
- 한국동양철학회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22년 동계 학술대회 [공정사회와 동양철학] 안내
- 한국동양철학회 ․ 유교문화연구소 2022년 동계 학술대회 공정사회와 동양철학 일 시: 2023년 2월 3일(금) 13시〜18시 장 소: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31308호 주최/주관: 한국동양철학회,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유교문화연구소 후 원: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 모시는 글 한국동양철학회 회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한국동양철학회와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유교문화연구소가 ‘공정사회와 동양철학’이라는 주제로 동계학술대회를 공동으로 개최하고자 합니다. 현재 우리 사회의 뜨거운 이슈 가운데 하나가 바로 공정의 문제입니다. 공정은 일반적으로 공의(righteousness)와 정의(justice)가 합해진 말로 볼 수 있습니다. 공정이라는 말은 특히 선거철만 되면 단골 메뉴로 등장하는데, 이러한 세태는 우리 사회가 아직 공정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보여주는 반증이기도 합니다. 사회 전반에 있어서 합리적 분배와 투명한 과정이 있어야 공정한 사회를 만들 수 있습니다. 공정과 상식이 통하는 사회를 이룩하는 것은 우리 모두의 염원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득권 세력에 맞서 어떠한 형태의 불법과 부정부패도 거부하고,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 억눌린 자들, 소수자의 편에 서서 사회적 형평을 추구해야 합니다. 이것은 우리 모두의 의무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공정사회를 추구하기 전에 먼저 공정의 이념과 담론의 실제를 제대로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공정에 관한 담론은 종래 서양철학계의 전유물이었습니다. 심지어 어떤 이들은 동양철학의 이론에서는 공정에 관한 논의 자체가 힘들다고까지 합니다. 그렇지만 공정의 이념이 인류 보편의 소망이듯이, 동양철학의 선현들도 이 주제에 대해 깊이 성찰하고 고민했음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한 분의 기조발표와 네 분의 주제 발표가 있습니다. 대공무사의 철학, 순자철학에서 나눔과 정의의 문제, 조선 여성의 ‘의’에 관한 연구, 공공성의 감정론적 토대에 대한 연구, 간재 전우 성리설에 있어서 가치와 기준의 일관성에 관한 문제 등 모두 흥미로운 주제들입니다. 저도 개인적으로 이번 학술대회의 논의가 매우 궁금하고 매우 기대가 됩니다. 회원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3. 1. 20 한국동양철학회 회장 장윤수
-
- 작성일 2023-01-20
- 조회수 6
- 첨부파일 (0)
-
- 유교문화연구소, AMERICAN UNIVERSITY와 학술교류 MOU 체결
- 유교문화연구소(소장 김도일 교수)가 10월 3일 미국 아메리칸대학교와 MOU를 체결하였다. 본 협약을 통해 유교문화연구소의 비판유학·현대경학연구센터(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와 아메리칸대학 철학종교학과(학과장 Jin Y Park 교수)는 향후 적극적인 학술교류 협력 관계를 구축하기로 하였다. 그 첫 번째 행사로서 2023년 1월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the East Asian Intellectual History and their Meanings in Our Time”라는 주제로 유불국제학술대회가 개최될 예정이다.
-
- 작성일 2022-12-23
- 조회수 24
- 첨부파일 (2)
-
-
- 2022년 제10차 전문가 초청 강연회 안내
- 근래 겨울비가 내리며 기온이 많이 내려갔습니다. 갑작스러운 추위에 감기 걸리지 않도록 건강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저희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는 2021년부터 전통 유가적 덕목들의 재발견 및 시민성으로의 재구성을 주요 목표로 연구활동을 이어오고 있으며, 아울러 제2차년도부터는 병리적 현상으로서의 한국 사회의 능력주의에 대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저희 연구센터에서는 오는 12월 7일 장윤미 선생님(동서대 중국연구센터)을 모시고 <현대중국의 현능주의(賢能主義) 논리와 운용>라는 주제로 전문가 초청강연회를 개최합니다. 중국의 정치적 능력주의를 뒷받침하는 논리 및 이것이 중국사회에서 실제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할 기회가 되리라 기대합니다. 여러 선생님들의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일시 : 2022년 12월 7일(수) 10:00~12:30 ◎ 장소 : 600주년 기념관 6층 제1세미나실 ◎ 진행방법 : 현장 발표 및 ZOOM 화상 회의 병행 ◎ 주최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Zoom 회의: https://us02web.zoom.us/j/86402290392?pwd=MFBSZkxTVk5sYlJ3SlNMRFZDZHNTUT09 회의 ID: 864 0229 0392 / 암호: 986002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 배상
-
- 작성일 2022-11-29
- 조회수 48
- 첨부파일 (0)
-
- 2022년 제9차 전문가 초청 강연회 안내
- 안녕하십니까? 저희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는 2021년부터 전통 유가적 덕목들의 재발견 및 시민성으로의 재구성을 주요 목표로 연구활동을 이어오고 있으며, 특히 2차년도부터는 한국 정치사회의 병리적 현상에 대한 성찰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센터에서는 오는 11월 4일 문성훈 선생님(서울여자대학교 교양학부)을 모시고 <능력사회와 인정이론 >이라는 주제로 전문가 초청강연회를 개최합니다. 오늘날 한국사회의 능력주의 현상과 관련하여 현대 정치철학의 주요 이론 중 하나인 인정이론으로부터 어떤 통찰을 얻을 수 있을지 고찰해보는 소중한 기회가 되리라 기대합니다. 여러 선생님들의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 배상 ◎ 제목: 능력사회와 인정이론 ◎ 연사: 문성훈 (서울여자대학교 교양학부) ◎ 일시: 2022년 11월 4일(금) 10:30~13:00 ◎ 진행방법: 온오프라인 병행 - 현장 강의 진행 장소: 600주년 기념관 6층 제 1 세미나실 - ZOOM 화상 회의: https://us02web.zoom.us/j/81783923256?pwd=cXY1OThwazlGK29lM1BhY1JNTDQvUT09 (회의 ID: 817 8392 3256, 암호: 103084) * 좌석이 협소하오니 현장 참석을 희망하시는 분들께서는 메일로 사전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E-mail: ccproject@skku.edu) 주최: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
- 작성일 2022-10-25
- 조회수 56
- 첨부파일 (0)
-
- 2022년 제8차 전문가 초청 강연회 안내
-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 제8차 전문가 초청강연 안녕하십니까? 저희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는 2021년부터 전통 유가적 덕목들의 재발견 및 시민성으로의 재구성을 주요 목표로 연구활동을 이어오고 있으며, 특히 2차년도부터는 한국 정치사회의 병리적 현상들에 대한 성찰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센터에서는 오는 10월 19일 백민정 선생님(가톨릭대학교 철학과)을 모시고 <정조시대의 학술논쟁과 정치의 의미 : 유교 능력주의 문제와 관련하여>라는 주제로 외부전문가 초청강연회를 개최합니다. 유교 전통에서 능력주의와 관련된 담론이 전개된 양상을 확인할 기회가 되리라 기대합니다. 여러 선생님들의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 배상 ◎ 제목: 정조시대의 학술논쟁과 정치의 의미 : 유교 능력주의 문제와 관련하여 ◎ 연사: 백민정 (가톨릭대학교 철학과) ◎ 일시: 2022년 10월 19일(수) 10:00~12:30 ◎ 진행방법: ZOOM 화상 회의 https://us02web.zoom.us/j/84893330953?pwd=NU1TRXdhaTJoTUlDYllzclRuUSttQT09 회의 ID: 848 9333 0953 / 암호: 003653 주최: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
- 작성일 2022-10-05
- 조회수 93
- 첨부파일 (0)
-
- 2022년 유교문화연구소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 제7차 전문가 초청 강연회 안내
- 어느덧 무더위가 가시고 아침과 저녁으로 시원한 기운이 감도는 가을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저희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는 2021년부터 전통 유가적 덕목들의 재발견 및 시민성으로의 재구성을 주요 목표로 연구활동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이에 저희 연구센터에서는 오는 9월 14일 이관후 선생님(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을 모시고 <'공정'의 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정의는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전문가 초청강연회를 개최합니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공정의 기준이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 고민할 기회가 되리라 기대합니다. 여러 선생님들의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 배상 일시 : 2022년 9월 14일(수) 10:30~12:00 장소 : 600주년 기념관 6층 제1세미나실 진행방법 : 현장 발표 및 ZOOM 화상 회의 병행 주최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비판유학·현대경학 연구센터(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회의 ID : 839 9518 7118 암호 : 521464
-
- 작성일 2022-09-08
- 조회수 60
- 첨부파일 (0)
-
- Contemporary Moral Psychology and Cross-cultural Moral Psychology
- Link : Contemporary Moral Psychology and Cross-cultural Moral Psychology (georgetown.edu) September 23-24, 2022 RSVP Required Location: Online Youtube Livestream Add to iCalendar Contemporary moral psychology aims to explain the psychological processes involved in moral judgments, emotions, and virtues by drawing on the results of recent research in empirical and evolutionary psychology as well as cognitive neuroscience. The study of East Asian philosophy by philosophers trained in the Anglo-American tradition has applied these results and shown several promising directions to explore traditional East Asian thought. Nevertheless, an issue that needs to be further addressed is the extent to which the study of East Asian philosophy has not yet been sufficiently indigenized in terms of taking the experiences of East Asian people seriously, in their own terms. As a result, the norm of experience in the study of East Asian thought is largely biased in favor of the Western, educated, industrialized, rich, and democratic (WEIRD) standard; often Western theories provide the primary concepts, approaches, and goals which are subsequently applied to East Asian traditional materials and to the experience of modern East Asians. To address this concern, this two-day conference will address various issues that arise at the point where East Asian thought intersects with contemporary moral psychology and cultural psychology, and it will explore the ways in which the study of East Asian philosophy can be relevant not just to what can be learned from traditional Confucian texts, but to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contemporary people. Please RSVP to receive a link to watch the YouTube livestream. In-person attendance is by invitation only. This event is co-sponsored by Georgetown University’s Berkley Center for Religion, Peace, and World Affairs, the Center for the Contemporary Study of East Asian Classics and Critical Confucianism (CCECC) at Sungkyunkwan University,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co-sponsors also thank the Institute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ISCP) and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JCPC) at Sungkyunkwan University for their support. Schedule Friday, September 23 9:15 – 9:30 a.m. EDT | Opening Remarks Philip J. Ivanhoe, Georgetown University Doil Kim, Sungkyunkwan University 9:30 - 10:30 a.m. EDT | ‘Like Loving a Lovely Sight’: Knowledge and Action in Chinese Philosophy Bryan W. Van Norden, Vassar College 10:30 - 10:45 a.m. EDT | Break 10:45 - 11:30 a.m. EDT | On Lowering Oneself - Construed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Doil Kim, Sungkyunkwan University 11:30 a.m. - 12:15 p.m. EDT | Lessons from the Contemporary Debate over Filial Values and Corruption Hagop Sarkissian, City University of New York Graduate Center 12:15 – 1:30 p.m. EDT | Lunch 1:30 – 2:30 p.m. EDT | Tribalism and Moral Learning Shaun Nichols, Cornell University 2:30 – 2:45 p.m. EDT | Break 2:45 – 3:30 p.m. EDT | TBD Hunseok Choi, Sungkyunkwan University 3:30 – 4:15 p.m. EDT | Sages Are Partial to Humanity Youngsun Back, Sungkyunkwan University Saturday, September 24, 2022 9:30 – 10:30 a.m. EDT | Confucian Affect (情) as the Foundation for Mutual Care and Moral Elevation in Human Relationality Jin Li, Brown University 10:30 – 11:15 a.m. EDT | Anger: Between Illness and Politics Keunchang Oh, Sungkyunkwan University 11:15 a.m. – 12:00 p.m. EDT | Authenticity, Code-Switching, and the Ethics of Consistency Daniel Kelly, Purdue University Michael Brownstein, John Jay College of Criminal Justice
-
- 작성일 2022-09-07
- 조회수 125
- 첨부파일 (0)